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공통수학1, 공통수학2 와 수학(상), 수학(하), 수학1, 수학2의 차이점은 ?
    교육 2025. 3. 7. 14:01
    반응형

     

    공통수학1, 공통수학2와 수학(상), 수학(하)의 차이점을 이해하려면 먼저 이 과목들이 적용되는 교육과정과 그 구조를 살펴봐야 합니다.

    아래에서 차이점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겠습니다.


    1. 교육과정의 차이

    • 수학(상), 수학(하): 이 명칭은 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 1학년 수학을 민간 출판사나 학교에서 편의상 구분한 용어입니다. 공식 과목명은 단순히 "수학"이었지만, 1학기와 2학기로 나눠 학습 내용을 구분하며 (상)과 (하)로 불렀습니다. 이는 2018년부터 2024년까지 고등학교에 입학한 학생들에게 적용되었습니다.
    • 공통수학1, 공통수학2: 이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도입된 고등학교 1학년 공통 과목으로, 2025년 입학생(즉, 현재 중3 학생)부터 적용됩니다. 공식적으로 "10 공수1", "10 공수2"라는 약칭을 사용하며, 모든 학생이 필수로 이수해야 하는 공통 과목으로 설계되었습니다.

    즉, 수학(상), 수학(하)는 이전 교육과정의 비공식 분할 방식이고, 공통수학1, 공통수학2는 최신 교육과정에서 공식화된 과목명입니다.


    2. 내용 구성의 차이

    교육과정 개정에 따라 단원의 배치와 내용이 일부 조정되었습니다. 주요 차이를 단원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수학(상) vs 공통수학1

    • 공통점: 둘 다 다항식(연산, 나머지 정리, 인수분해), 방정식과 부등식(복소수, 이차방정식 등)을 다룹니다. 이는 고1 수학의 기초를 형성하는 핵심 내용입니다.
    • 차이점:
      • 도형의 방정식: 수학(상)에는 "도형의 방정식"(평면좌표, 직선과 원의 방정식)이 포함되었으나, 공통수학1에서는 이 단원이 빠지고 공통수학2로 이동했습니다.
      • 경우의 수: 수학(하)에 있던 "경우의 수"(순열, 조합 등)가 공통수학1로 옮겨졌습니다.
      • 행렬: 공통수학1에 새롭게 "행렬" 단원이 추가되었습니다. 이는 2009 개정 교육과정 이후 삭제되었다가 2022 개정에서 부활한 단원으로, 2×2 행렬까지만 다루며 역행렬은 제외됩니다. 수학(상)에는 행렬이 없었습니다.

    수학(하) vs 공통수학2

    • 공통점: 집합과 명제, 함수(합성함수, 역함수 등)는 두 과목 모두 포함됩니다.
    • 차이점:
      • 경우의 수: 수학(하)에 포함되었던 "경우의 수"가 공통수학1로 이동하면서 공통수학2에서는 제외되었습니다.
      • 도형의 방정식: 수학(상)에 있던 "도형의 방정식"이 공통수학2로 옮겨졌습니다. 이는 평면좌표와 직선, 원의 방정식을 다룹니다.
      • 내용 조정: 공통수학2에서는 "평면좌표" 단원에서 외분 관련 내용이 삭제되는 등 세부 조정이 있습니다.

    3. 학습량과 난이도 배분

    • 수학(상), 수학(하): 수학(상)의 학습량이 다항식, 방정식과 부등식, 도형의 방정식까지 포함해 상대적으로 많았고, 수학(하)는 집합과 명제, 함수, 경우의 수로 구성되어 부담이 적었습니다. 이로 인해 일부 학교에서는 수학(상)의 일부 단원(예: 도형의 방정식)을 2학기로 이월하기도 했습니다.
    • 공통수학1, 공통수학2: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단원 배치를 재조정해 학습량의 균형을 맞추려 했습니다. 공통수학1에 행렬과 경우의 수가 추가되고, 도형의 방정식이 공통수학2로 이동하면서 두 과목의 볼륨이 비교적 균등해졌습니다.

    4. 목적과 철학

    • 수학(상), 수학(하):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고1 수학을 단일 과목으로 설계했으나, 실질적으로 학기별로 나눠 가르쳤습니다. 이후 선택 과목(수학1, 수학2, 미적분 등)으로 이어지는 기초를 다지는 역할을 했습니다.
    • 공통수학1, 공통수학2: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고교학점제 도입과 함께 모든 학생이 공통적으로 이수해야 하는 필수 과목으로 명확히 규정되었습니다. 수학적 기초 소양을 키우고, 이후 일반선택(예: 미적분)이나 진로선택(예: 경제수학)으로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또한, 기초학력 보장을 위해 "기본수학1, 2"라는 대체 과목도 마련되었습니다.

    5. 정리된 차이점 요약

    구분 수학(상) 수학(하) 공통수학1 공통수학2
    교육과정 2015 개정 (2018~2024 입학생) 2015 개정 (2018~2024 입학생) 2022 개정 (2025 입학생~) 2022 개정 (2025 입학생~)
    주요 단원 다항식, 방정식과 부등식, 도형의 방정식 집합과 명제, 함수, 경우의 수 다항식, 방정식과 부등식, 경우의 수, 행렬 집합과 명제, 함수, 도형의 방정식
    추가/삭제 요소 - - 행렬 추가, 도형의 방정식 제외 도형의 방정식 추가, 경우의 수 제외
    학습 시기 1학기 2학기 1학기 (4학점) 2학기 (4학점)

    결론

    공통수학1, 공통수학2는 수학(상), 수학(하)를 기반으로 하되, 단원 배치와 내용을 현대화하고 학습량 균형을 맞춘 개정판이라 볼 수 있습니다. 특히 행렬의 추가와 도형의 방정식, 경우의 수의 이동은 가장 눈에 띄는 변화입니다. 2025년부터 고등학교에 입학하는 학생이라면 공통수학1, 2를 기준으로 공부해야 하며, 이전 세대와의 차이를 이해하면 학습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